Phot_o_matic Programming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Phot_o_matic Programming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Programming
      • TIL
      • Concept
      • Algorithm
      • Hello, stranger
      • Mindchain
      • Python
      • Vue
      • React
      • Git
      • GraphQL
      • Database
      • Twittler
      • Typescript
    • Photography
      • Olympus
      • Canon
    • IT
    • Daily
      • Yummy

검색 레이어

Phot_o_matic Programming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Programming

  • 웹 설문 영상 미리보기 (video src에 사용되는 영상의 코덱)

    2020.07.21 by 쌩우

  • 비동기 작업들(Async Processes)과 시한폭탄(timeout)

    2020.07.15 by 쌩우

  • AWS EC2에 pyenv로 python 설치하기

    2020.07.01 by 쌩우

  • Sass (2) - 불러오기, 상속, 믹스인

    2019.11.04 by 쌩우

  • Sass (1) - 정의, 변수, 연산자, 내장함수, 중첩

    2019.11.04 by 쌩우

  • Pro Git (3) - 브랜치 part 1

    2019.10.16 by 쌩우

  • Pro Git (2) - 히스토리 조회, 되돌리기, alias

    2019.10.14 by 쌩우

  • Git pull과 fetch의 차이

    2019.10.14 by 쌩우

웹 설문 영상 미리보기 (video src에 사용되는 영상의 코덱)

포켓서베이 서비스가 지나온 길 포켓서베이는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은 이용해보았고, 또 이용하고 있는 카카오톡이라는 앱을 이용하여 설문 진행이 가능하다. 덕분에 포켓서베이 이용자는 익숙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많은 사람들을 설문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챗봇과 대화를 하듯이 메시지를 주고 받다 보면 어느 새 설문이 완료됐다는 메시지를 볼 수 있으니 말이다. 더불어 카카오톡은 이미 한국 사회에서 범용적이고 대중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대부분의 기업에서도 큰 거부감 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설문 조사라는 서비스 본연의 목적에 맞추어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고 제공하기에는 카카오톡 챗봇이라는 시스템이 주는 한계가 분명 존재한다. 자유도가 높지 않다는 것은 앞으로의 서비스 편..

Programming 2020. 7. 21. 18:37

비동기 작업들(Async Processes)과 시한폭탄(timeout)

포켓서베이 서비스는 설문 조사를 제작하는 것부터 시작해, 카카오톡 챗봇을 이용한 참여, 마지막으로 인공지능 보고서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모두 제공한다. 기존에는 서비스 이용자들이 주로 만족도 설문조사를 위하여 이용하였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카카오톡 알림톡 심사 조건이 완화되었다. 덕분에 조사를 진행할 수 있는 분야의 확장성이 확보되었고, 다양한 형태로 설문을 제작 및 운용할 수 있었다. 학술 조사, 사내 설문조사, 시장 조사 등의 복잡도가 높은 설문이 생겨나면서, 자연스럽게 인공지능 보고서가 분석해야 하는 문항의 개수나 데이터의 양이 급격히 늘어났다. 프론트엔드는 분석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차트를 나타내주어야했기 때문에 데이터를 얼마나 잘 가져오고, 빠르게 보여줄 지를 고민해야 했다. 서비스 초기..

Programming 2020. 7. 15. 22:18

AWS EC2에 pyenv로 python 설치하기

Pyenv를 이용한 파이썬 버전 관리를 하려고 한다. (근데 설치가 안 된다ㅠ역시나) pyenv install ''특정 버전''을 실행했을 때 에러가 발생했다. mkdir: cannot create directory ‘/usr/local/opt’: Permission denied' 권한을 달라고 찡찡거려서 권한을 줬다. sudo chown -R $USER:admin /usr/local python을 사용하려고 할 때 필요한 기본 dependency가 더 필요한가보다. py zipimport.ZipImportError: can't decompress data; zlib not available - py sudo apt-get install zlib1g-dev ERROR: The Python ssl exte..

Programming/Python 2020. 7. 1. 00:36

Sass (2) - 불러오기, 상속, 믹스인

1. Import 스타일을 여러 파일들로 나누고, 다른 파일에서도 불러와 사용하는 기능이다. @import 지시자를 사용하면 특정 .scss 파일을 불러올 수 있다. @import "base.scss"; @import "base2"" //확장자를 붙이지 않아도 된다 partial .sass 파일이나 .scss 파일의 이름을 _ 로 시작하면 css 파일로 컴파일되지 않는다. HTML에서 해당 css 파일을 부를 일이 없고, import만 되는 경우 이 기능을 사용하자. 2. Extend 특정 선택자를 상속할 때, @extend 지시자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box 클래스의 속성을 상속받고 싶은 success-box라는 클래스가 있다면? .box { border: 1px solid gray; padding..

Programming/Concept 2019. 11. 4. 15:39

Sass (1) - 정의, 변수, 연산자, 내장함수, 중첩

Sass란? => Synthetically Awesome Style Sheet (문법적으로 짱 멋진 스타일 시트) css의 전처리기로서, css 코드의 재활용성을 높일 뿐 아니라 가독성을 높여준다. 덕분에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컴파일을 통하여 sass/scss 파일이 css 형태로 바뀌게 된다. node-sass 사용 => 빠른 컴파일 속도와, Node.js 환경에서 작업할 때 libsass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 NPM 을 통하여 node-sass 글로벌 설치 $ sudo npm install -g node-sass # 컴파일하여 현재 디렉토리에 저장 $ node-sass style.scss -o . # style.scss 파일에 변화가 있을 떄 마다 자동으로 리컴파일 $ node-..

Programming/Concept 2019. 11. 4. 15:02

Pro Git (3) - 브랜치 part 1

Git 브랜치 (1) 모든 버전 관리 시스템은 브랜치를 지원한다. 개발을 하다 보면 코드를 여러 개로 복사해야 할 일이 자주 생기는데, 코드를 통째로 복사하고 나서 원래 코드와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개발할 수 있게끔 브랜치가 도와준다. Git의 브랜치는 다른 것들과 구분되는 특징이라고도 한다. 브랜치가 매우 가벼워서, 순식간에 브랜치를 새로 만들고 브랜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브랜치란? Git은 커밋을 하면 현재 Staging Area에 있는 데이터의 스냅샷에 대한 포인터, 저자나 커밋 메시지와 같은 메타데이터, 이전 커밋에 대한 포인터 등을 포함하는 ''커밋 Object'를 저장한다. 이전 커밋 포인터가 있어서 현재 커밋이 무엇을 기준으로 바뀌었는지 알 수 있다. Blob : ..

Programming/Git 2019. 10. 16. 17:41

Pro Git (2) - 히스토리 조회, 되돌리기, alias

커밋 히스토리 조회 저장소에서 몇 번의 커밋을 하였는지, 언제 하였는지 궁금할 수 있다. 명령어는 git log이다. 특별한 argument 없이 실행하면 저장소의 커밋 히스토리를 시간순으로 보여준다. 가장 최근의 커밋이 가장 먼저 나온다. 원하는 히스토리를 검색할 수 있게 다양한 옵션을 지원한다. -p : 각 커밋의 diff 결과를 보여준다. 다른 유용한 옵션은 -2가 있다. 이는 최근 두 개 결과만 보여준다. git log -p -2 와 같은 명령을 실행하면 최근 두개의 commit에 대한 diff 결과를 보여줄 것이다. --stat : 이름처럼 통계적 결과를 내준다. 어떤 파일이 수정됐는지, 얼마나 많은 파일이 변경됐는지, 또 얼마나 많은 라인을 추가하거나 삭제했는지 보여준다. 옵션설명-p커밋들에 ..

Programming/Git 2019. 10. 14. 18:22

Git pull과 fetch의 차이

Git 명령어 중, pull과 fetch는 아주 유사하지만 다르게 사용된다.git pull: 원격 저장소로부터 파일을 다운과 동시에 병합(auto merge)시킨다. 지역 브랜치와 원격 저장소의 origin/master가 같은 위치를 가리킨다. git fetch + git merge의 과정으로 생각하면 간단하다.git fetch: 원격 저장소로부터 필요한 파일을 다운까지만 한다. 병합은 수동으로 해야 한다. 지역 브랜치는 원래 가지고 있던 지역 저장소의 최근 커밋 위치를 가리키고, 원격 저장소 origin/master는 가져온 최신 커밋을 가리킨다. git pull과는 다르게 원래 내용과 바뀐 차이를 확인하고 병합을 할 수 있다. (git diff HEAD origin/master) 또 commit이 얼..

Programming/Git 2019. 10. 14. 15:4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 25
다음
Phot_o_matic Programming © phot_o_matic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